乘
한자
편집
|
|
한국어
편집형태소
편집- 1. ‘타다, 틈타다 ’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중국어
편집발음1
편집- 표준어: chéng / ㄔㄥˊ
동사
편집- 1. 오르다, 올라가다.
명사
편집- 1. (제)곱.
합성어
편집- 乘風破浪/乘风破浪 (chéng fēng pò làng)
- 乘車/乘车 (chéngchē) 승차하다
- 乘除 (chéngchú) 승제
- 乘法 (chéngfǎ) 승법
- 乘機/乘机 (chéngjī) 승기
- 乘間/乘间 (chéngjiàn)
- 乘客 (chéngkè) 승객
- 乘涼/乘凉 (chéngliáng)
- 乘人之危 (chéngrénzhīwēi) 타인의 위기에 편승하여 강요·협박하다.
- 乘勝追擊/乘胜追击 (chéngshèngzhuījī)
- 乘時/乘时 (chéngshí) 승시
- 乘勢/乘势 (chéngshì) 승세
- 乘數/乘数 (chéngshù) 승수
- 乘務員/乘务员 (chéngwùyuán) 승무원
- 乘虛/乘虚 (chéngxū)
- 乘虛而入/乘虚而入 (chéngxū'érrù)
- 乘夜 (chéngyè) 승야
- 乘月 (chéngyuè)
- 乘雲/乘云 (chéngyún)
- 乘坐 (chéngzuò) (탈것을) 타다.
- 被乘數/被乘数 (bèichéngshù)
- 搭乘 (dāchéng) 탑승
- 共乘 (gòngchéng)
- 加減乘除/加减乘除 (jiājiǎn chéngchú) 가감승제
- 階乘/阶乘 (jiēchéng) 계승
<발음 미확인>
- 三乘比
- 乘亂/乘乱
- 乘亂坐大/乘乱坐大
- 乘人不備/乘人不备
- 乘人之厄
- 乘便
- 乘偽行詐/乘伪行诈
- 乘傳/乘传
- 乘其不備/乘其不备
- 乘其不意
- 乘冪/乘幂
- 乘凶完配
- 乘勝逐北/乘胜逐北
- 乘化
- 乘危
- 乘堅策肥/乘坚策肥
- 乘堅驅良/乘坚驱良
- 乘奔御風/乘奔御风
- 乘方
- 乘桴
- 乘槎
- 乘機坐大/乘机坐大
- 乘機應變/乘机应变
- 乘流
- 乘火打劫
- 乘田
- 乘積/乘积
- 乘空
- 乘肥衣輕/乘肥衣轻
- 乘肩
- 乘興/乘兴
- 乘興而來/乘兴而来
- 乘船
- 乘號/乘号
- 乘車戴笠/乘车戴笠
- 乘軒/乘轩
- 乘軒鶴/乘轩鹤
- 乘輕驅肥/乘轻驱肥
- 乘輿/乘舆
- 乘輿播越/乘舆播越
- 乘輿播遷/乘舆播迁
- 乘酒
- 乘間投隙/乘间投隙
- 乘隙
- 乘隙而入
- 乘鶴/乘鹤
- 乘鶴駕雲/乘鹤驾云
- 乘鸞跨鳳/乘鸾跨凤
- 乘黃/乘黄
- 乘龍/乘龙
- 乘龍佳婿/乘龙佳婿
- 乘龍快婿/乘龙快婿
- 伍員乘潮/伍员乘潮
- 出乘
- 可乘之機/可乘之机
- 可乘之隙
- 因利乘便
- 摶柱乘梁/抟柱乘梁
- 有機可乘/有机可乘
- 有隙可乘
- 服冕乘軒/服冕乘轩
- 無勢可乘/无势可乘
- 無機可乘/无机可乘
- 無隙可乘/无隙可乘
- 琴高乘鯉/琴高乘鲤
- 盛衰相乘
- 竊幸乘寵/窃幸乘宠
- 老鶴乘軒/老鹤乘轩
- 自乘
- 變亂紛乘/变乱纷乘
- 貨幣乘數/货币乘数
- 超乘
- 跨鳳乘鸞/跨凤乘鸾
- 跨鳳乘龍/跨凤乘龙
- 迭乘
- 陪乘
- 飛蓬乘風/飞蓬乘风
- 飛龍乘雲/飞龙乘云
- 騎乘/骑乘
- 鶴乘軒/鹤乘轩
- 黃帝乘龍/黄帝乘龙
발음2
편집- 표준어: shèng, chéng / ㄕㄥˋ, ㄔㄥˊ
명사
편집- 1. (말 네 마리가 끄는) 수레
- 기원전 3세기 이후, 맹자, 《맹자》, 〈양혜왕 상(梁惠王上)〉 (漢文本)
- 萬乘之國弒其君者必千乘之家 千乘之國弒其君者必百乘之家
- 万乘之国弑其君者必千乘之家 千乘之国弑其君者必百乘之家
- (Wàn chéng zhī guó shì qí jūn zhě bì qiān chéng zhī jiā qiān chéng zhī guó shì qí jūn zhě bì bǎi chéng zhī jiā)
- 만승의 나라에서 그 임금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천승의 가문이고, 천승의 나라에서 그 임금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백승의 가문입니다.
- 참조: 일승(一乘)은 네 마리의 말이 끄는 병차(兵車) 한 대를 가리킨다. 백승지국(百乘之國)은 대부(大夫)가, 천승지국(千乘之國)은 제후가, 만승지국(萬乘之國)은 임금이 다스리는 나라를 가리킨다. [1]
- 2. 넷
- 3. 사기(史記)
- 4. 불법(佛法)
양사
편집- 1. (말 네 마리가 끄는) 수레를 세는 단위
합성어
편집각주
편집- ↑ 이홍표, 《누구나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논어》, 유페이퍼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