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HappyMidnight/연습장

일본어 편집

<삭제된 예문 되살리기>

  • また、マジャル(じん)(なか)にはモルダヴィアのチャーンゴー、トランシルヴァニアのセーケイや、ハンガリー共和国(きょうわこく)領内(りょうない)のヤース、マチョー、クン、パローツなどの個性的(こせいてき)文化(ぶんか)をもつサブ・グループが()られるが、ヤース(じん)がアラン(じん)末裔(まつえい)、クン人がクマン人の末裔(まつえい)であることが()られるように、これらは様々(さまざま )出自(しゅつ-じ)をもち、ハンガリー王国(おうこく)移住(いじゅう)してハンガリーに部分的(ぶぶんてき)同化(どうか)されていった人々(ひとびと)である。 또한, 마자르인 중에는 몰다비아의 찬고, 트란실바니아의 세케이와, 헝가리공화국 영내의 야스, 마쵸, 쿤, 바로츠 등의 개성적인 문화를 가진 서브 그룹이 알려져 있는데, 야스인은 알라니족의 후예, 쿤인은 쿠만인의 후예인 것이 알려진 것처럼, 이들은 다양한 출신을 가진, 헝가리왕국에 이주하여 헝가리에 부분적으로 동화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일본어 편집

* <span style="font-size: 200%">{{lang|ja|[[色]]}}</span> 항목을 참조.
<center>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 colspan="3" |함께 쓰이는 낱말
|-
|
|
|
|}</center>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 colspan="3" |파생어
|-
|
|
|
|} 
==한국어==
* <span style="font-size: 200%">[[]]</span> 항목을 참조.

==중국어==
{{zh-forms|t=負面|s=负面}}
* <span style="font-size: 200%">{{lang|zh|[[]]}}</span> 항목을 참조.

[[분류:중국어 간체]]

*표준어
:*병음:
:*주음부호: 


==참고 문헌==
*{{중화민국 교육부 중편 국어사전 수정본|Z00000043108}}

{{따옴|1=[https://www.youtube.com/watch?v=TbyJcxBA7Ak Youtube > Why is Picking a Jury So Difficult? (Jury Selection)]}}  

{{따옴|1=[http://timescampus.ebse.co.kr/kids_ebs.htm?NID=185&code=ebs_special Keeping Your New Year’s Resolutions Is Important!]}}

:* '''2010's''', British Council, Elementary podcasts, [http://learnenglish.britishcouncil.org/en/elementary-podcasts/series-01-episode-01 Series 01 Episode 01]

==문헌 표시==

prefix: 
{{번역 필요}}
{{번역중|:zh:三國志/卷30}}

[[:w:후한 헌제|헌제]](獻帝)가 정(定)한 [[:w:초평|초평]](初平, {{보|190~193년}}) 연간에 구력거(丘力居)가 죽고, 


{{따옴|《[[:w:예기|예기]](禮記)》〈[[:s:예기/곡례상|곡례상 제일(曲禮上 第一)]]〉}}

{{따옴|《[[:w:예기|예기]](禮記)》〈[[:s:예기/중용|중용 제삼십일((中庸 第三十一))]]〉}}

{{따옴|《[[:w:예기|예기]](禮記)》〈[[:s:zh:禮記/王制|왕제 제오(王制 第五)]]〉}}

{{따옴|《[[:w:예기|예기]](禮記)》〈[[:s:zh:禮記/樂記|악기 제십구(樂記 第十九)]]〉}}


{{따옴서경|요전|堯典}}

{{따옴서경|순전|舜典}}

{{따옴서경|태서상|泰誓上}}

{{따옴서경|우공|禹貢}} 

울요(尉繚) (전국시대), 《율요자([[:s:zh:尉繚子|尉繚子]])》, 천관(天官)조, 

<ref>《[[:s:서경|서경]](書經)》〈[[:s:서경/탕서|탕서(湯誓)]]〉</ref>


<ref>《[[:s:시경|시경]](詩經)》〈[[:s:시경/역복|두릅나무·떡갈나무(棫樸)]]〉</ref>

 

<ref>[[:w:공자|공자]](孔子),《[[:s:논어|논어]](論語)》〈[[:s:논어/공야장제오|공야장 제오(公冶長第五)]]〉</ref>

<ref>[[:w:좌구명|좌구명]](左丘明)(기원전 6~5세기),《[[:s:zh:國語|국어]](國語)》〈[[:s:zh:國語/卷08|권8 진어 이(晉語二)]]〉</ref>

<ref>[[:w:좌구명|좌구명]](左丘明)(기원전 6~5세기),《[[:s:zh:國語|국어]](國語)》〈[[:s:zh:國語/卷12|권12 진어 육(晉語六)]]〉</ref>

{{논어|학이제일|學而第一}}

{{따옴논어|위정제이|為政第二}} ᅟᅮᆫ

{{따옴논어|공야장제오|公冶長第五}}

{{따옴논어|자한제구|子罕第九}}

{{따옴논어|위령공제십오|衛靈公第十五}}

{{따옴논어|계씨제십육|季氏第十六}}


‘’‘기원전 5~4세기’‘’, [[:w:묵자|묵자]](墨子), 《[[:s:묵자|묵자]](墨子)》, 〈상동상(尚同上)〉


<ref>[[:w:맹자|맹자]](孟子)(기원전 4세기),《[[:s:맹자|맹자]](孟子)》〈[[:s:맹자/양혜왕 상|양혜왕 상(梁惠王 上)]]〉</ref>

(기원전 4세기), [[:w:맹자|맹자]](孟子)《[[:s:맹자|맹자]](孟子)》〈[[:s:맹자/진심 상|진심 상(盡心 上)]]〉

(기원전 4세기), [[:w:맹자|맹자]](孟子)《[[:s:맹자|맹자]](孟子)》〈[[:s:맹자/등문공 하|등문공 하((滕文公 下))]]〉

<ref>[[:w:맹자|맹자]](孟子)(기원전 4세기),《[[:s:맹자|맹자]](孟子)》〈[[:s:맹자/공손추 상|공손추 상(公孫丑 上)]]〉</ref>

{{맹자|양혜왕 상|梁惠王上}}

{{따옴|  《[[:s:이아|이아]]》(爾雅) 〈석고〉(釋詁)}}

{{따옴|  《[[:s:이아|이아]]》(爾雅) 〈석언〉(釋言)}}

{{따옴|  《[[:s:이아|이아]]》(爾雅) 〈석훈〉(釋訓)}}

{{따옴|  《[[:s:이아|이아]]》(爾雅) 〈석초〉(釋草)}}

 
 {{따옴|[[:w:유안 (전한)|유안(劉安)]](기원전 2세기), 《[[:w:회남자|회남자]]》(淮南子) 〈[[:s:zh:淮南子/天文訓|天 文 訓(천문훈)〉]]}}

 {{따옴|[[:w:유안 (전한)|유안(劉安)]](기원전 2세기), 《[[:w:회남자|회남자]]》(淮南子) 〈[[:s:zh:淮南子/主術訓|主術訓(주술훈)〉]]}}


<ref>〈[[:s:한글 창제 반대 상소문|한글 창제 반대 상소문]]〉  </ref>

사기 


<ref>[[#사마천|사마천]] </ref>

*{{위키인용 |ref="사마천"| reference ={{서적 인용 |저자=[[사마천]] |연도=기원전1~2세기 |제목=[[:s:사기 (역사서)|사기]]  |장=[[:s:사기/사기/권001|권제1 오제본기(五帝本紀)]] / [[:s:zh:史記/卷001|(漢文本)]]  |ref={{sfnRef|사마천}} }} }}

*{{위키인용 |ref="사마천"| reference ={{서적 인용 |저자=[[사마천]] |연도=기원전1~2세기 |제목=[[:s:사기 (역사서)|사기]]  |장=[[:s:사기/사기/권115|권제115 조선열전(朝鮮列傳)]] / [[:s:zh:史記/卷115|(漢文本)]]  |ref={{sfnRef|사마천}} }} }}


(위키백과용) 

<ref>[[사마천]](기원전 1~2세기),《[[:s:사기|사기]]》〈[[:s:사기/권006|권6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제6]]〉</ref>

<ref>[[사마천]](기원전 1~2세기),《[[:s:사기|사기]]》〈[[:s:사기/권008|권8 고조본기(高祖本紀) 제8]]〉</ref>

<ref>[[사마천]](기원전 1세기),《[[:s:사기|사기]]》〈[[:s:사기/권115 |권115 조선열전(朝鮮列傳)]]〉</ref>


(위키사전용) 

{{따옴사기|001|001 오제본기(五帝本紀)}}

<ref>[[:w:사마천|사마천]](기원전 1세기),《[[:s:사기|사기]]》〈[[:s:사기/권002|권2 하본기(夏本紀)]]〉</ref>


<ref>[[:w:사마천|사마천]](기원전 1세기),《[[:s:사기|사기]]》〈[[:s:사기/권013|권13 삼대세표(三代世表)]]〉</ref>

{{따옴사기|008|008 고조본기(高祖本紀) 제6}}


{{사기|28|28 봉선서(封禪書)}}

{{사기|044|044 위세가(魏世家)}}

{{따옴사기|047|047 공자세가(孔子世家)}}

{{따옴사기|061|061 백이열전(伯夷列傳)}}

{{따옴사기|075|075 맹상군열전(孟嘗君列傳)}} 

<ref>[[:w:사마천|사마천]](기원전 1세기),《[[:s:사기|사기]]》〈[[:s:사기/권110 |권110 흉노열전(匈奴列傳)]]〉</ref>

 

{{사기|111|111 위장군표기 열전(衛將軍驃騎列傳)}}
 
{{사기|115|115 조선열전(朝鮮列傳)}}


〔〕
 

==각주==
<references/>

(위키문헌용) 

<ref>[[:w:사마천|사마천]](기원전 1세기),《[[사기]]》〈[[사기/권002|권2 하본기(夏本紀)]]〉</ref>

<ref>[[:w:사마천|사마천]](기원전 1세기),《[[사기]]》〈[[사기/권115|권115 조선열전(朝鮮列傳)]]〉</ref>


{{따옴|《주역(周易)》 〈제이십칠괘〉(第二十七卦) : 頤(이)}}
 

한서


(위키사전용) 

{{따옴|[[:w:반고 (후한)|반고]](1세기),《[[:s:한서|한서]]》〈[[:s:한서/권072|권72 王貢兩龔鮑傳]]〉}}

{{따옴|[[:w:반고 (후한)|반고]](1세기),《[[:s:한서|한서]]》〈[[:s:한서/권095|권95 서남이양오조선(西南夷兩粵朝鮮傳)]]〉}}

{{따옴|[[:w:반고 (후한)|반고]](1세기),《[[:s:한서|한서]]》〈[[:s:한서/권063|권63 武五子傳(무오자전)]]〉}}



 

{{따옴|[[:zh:s:史記三家註/卷001]]}}

<ref>[[:w:왕충 (후한)|왕충]](1세기),《[[:s:논형|논형]]》〈[[:s:zh:論衡/09|제9편]]〉</ref>

*뜻은 彳, 소리는 敫(노래할 교)에서 따온 형성자이다.  
==참고 문헌==
*[[:w:허신 (후한)|허신]](許愼), 《[[:w:설문해자|설문해자]]》(說文解字) 〈[[:s:설문해자/02|권2]]〉 ([[:s:zh:說文解字/02|漢文本]]) (1~2세기)

{{따옴|[[:w:허신 (후한)|허신]](許愼), 《[[:w:설문해자|설문해자]]》(說文解字) 〈[[:s:설문해자/02|권2]]〉 ([[:s:zh:說文解字/02|漢文本]]) (1~2세기)}}

*{{위키인용 |ref="진수(3세기)"| reference ={{서적 인용 |저자=[[:w:진수 (서진)|진수]] |연도=3세기 |제목=[[:s:삼국지|삼국지]]  |장=[[:s:삼국지/권30|권30 오환선비동이전]]/ [[:s:zh: 三國志/卷30|(漢文本)]]  |ref={{sfnRef| 진수(3세기)}} }} }}

==참고 문헌==
*[[진수 (서진)|진수]](3세기), 《[[삼국지]]》 〈[[:s:삼국지 (진수)/권06|권06]]〉 〈원소전〉

*[[진수 (서진)|진수]](3세기), 《[[삼국지]]》 〈[[:s:삼국지 (진수)/권30|권30]]〉 〈오환선비동이전〉

:*{{삼국지|01|1 위서 무제기 卷一 魏書·武帝紀}}
::*{{lang|zh|}}

{{따옴삼국지|06|06 위서 동이원류전 (魏書 董二袁劉傳)}}

{{따옴삼국지|30|30 위서 오환선비동이전 (魏書 烏丸鮮卑東夷傳)}}

{{따옴|왕찬(王粲), (3세기) 《[[:s:영웅기|영웅기]]》(英雄記}}

== 중국어 ==
*어원:
{{발음 듣기|}}
{{IPA|}}
*병음:
=== (여기에 품사를 적어주세요) ===
* '''1.'''
:*

〔〕
#* {{lang|zh|'''寇'''賊}} 도적들 {{따옴서경|순전|舜典}}


― 

‘밝다’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ᄡᅮᆯ

후한서

<ref>[[:w:범엽|범엽]] (5세기) 《[[:w:후한서|후한서]]》 〈[[:s:zh:後漢書/卷47|제47권 반양열전(班梁列傳)]]〉 </ref>

<ref>[[:w:범엽|범엽]] (5세기) 《[[:w:후한서|후한서]]》 〈[[:s:zh:後漢書/卷64|제64권]]〉 </ref>

<ref>[[:w:범엽|범엽]] (5세기) 《[[:w:후한서|후한서]]》 〈[[:s:zh:後漢書/卷71|제71권]]〉 </ref>

<ref>[[:w:범엽|범엽]] (5세기) 《[[후한서]]》 〈[[후한서/권85|권85 동이열전(東夷列傳)]]〉 </ref>

{{따옴후한서|09|09 효헌제기(孝獻帝紀)}}

{{따옴후한서|47|47 반양열전(班梁列傳)}}

{{따옴후한서|64|64 오연사노조열전(吳延史盧趙列傳)}}

{{따옴후한서|65|65 황보장단열전(皇甫張段列傳)}}

{{따옴후한서|69|69두하열전 (竇何列傳)}}

{{따옴후한서|71|71 황보숭주준열전(皇甫嵩朱鑈列傳)}}

{{따옴후한서|72|72 동탁열전(董卓列傳)}}

{{따옴후한서|85|85 동이열전(東夷列傳)}}

{{따옴후한서|90|90 오환선비열전(烏桓鮮卑列傳)}}

{{따옴|가사나(伽斯那), 5세기 《백구비유경([[:s:zh:百句譬喻經|百句譬喻經]])》, 〈[[:s:zh:百句譬喻經/三重樓喻|10. 三重樓喻]]〉 }}

现代汉语大词典

{{따옴| 방현령(房玄齡) 등 (648년) 《[[:s:zh:晉書|진서(晉書)]]》 , 〈[[:s:zh:晉書/卷072|권072]]〉 }}

{{따옴|[[:w:주희|주희]] (12세기) 《[[:s:사서장구집주|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註)]]》 〈[[:s:사서장구집주/논어집주 권일 |논어집주 권일(論語集注卷一)]]〉 }}

:* {{사서장구집주|논어집주 권일|논어집주 권일 학이 제일(學而第一)條|論語集注卷一}}
::* {{lang|zh|

:* {{사서장구집주|논어집주 권일|맹자집주 권일 양혜왕(梁惠王) 장구(章句) 상(上)條|孟子集注卷一}}
::* {{lang|zh|


==참고 문헌==
* {{서적 인용 |저자=[[김부식]] |연도=1145 |제목=[[:s:삼국사기|삼국사기]]  |장=[[:s:삼국사기/권02|권02 미추 이사금 條]] }}  

==참고 문헌==
* [[김부식]] (1145), 《[[삼국사기]]》  〈[[:s:삼국사기/권28|권28 백제본기 제육(百濟本紀第六) 의자왕]](위키문헌 번역본)〉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sg_028r_0020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사데이타베이스 번역본) ]

* [[김부식]] (1145), 《[[삼국사기]]》 〈[[:s:삼국사기/권34 |잡지제삼 지리일(雜志第三 地理一)]]〉 


{{따옴삼국사기|04|04 진평왕 53년 條}}
ㅤ
󰆑
󰆔
㉶
㉹

==중국어==
*표준어: [[míng]]/ㄇㄧㄥˊ
{{발음 듣기|Zh-míng.ogg|표준어}}

* <span style="font-size: 200%">[[認為]]</span>   항목을 참조. 

{{네이버 한자사전|}}
 

{{따옴삼국사기|01|01 혁거세거서간 條}}


:* {{삼국사기|02|02 유례 이사금 條}}
::* {{lang|zh|

:* {{삼국사기|02|02 기림 이사금 條}}
::* {{lang|zh|

:* {{삼국사기|02|02 흘해 이사금 條}}
::* {{lang|zh|

:* {{삼국사기|03|03 내물 이사금 條}}
::* {{lang|zh|

:* {{삼국사기|04|04 지증마립간 條}}
::* {{lang|zh|

:* {{삼국사기|04|04 진흥왕 條}}
::* {{lang|zh|

{{삼국사기|04|04 진평왕 條}}

:* {{삼국사기|05|05 진덕왕 條}}
::* {{lang|zh|

{{따옴삼국사기|13|13 동명성왕 條}}

{{따옴삼국사기|26|26 무녕왕 條}}

:*{{삼국사기|28|28 의자왕 條}}
::* {{lang|zh|

{{삼국사기|33|33 색복 條}}

{{삼국사기|41|41 김유신 條}}

{{따옴삼국사기|44|44 거도 條}}

{{삼국사기|45|45 밀우·유유 條}} 

{{삼국사기|45|45 박제상 條}}

{{따옴삼국사기|47|47 김흠운 條}}

권47 

〔〕
‘밝다’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
“”
오후 열두시 이십이분이에요. 
오후 열두 시 이십이 분이에요. 


 

삼국유사

(위키사전용) <ref>[[:w:일연|일연]](1281),《[[:s:삼국유사|삼국유사]]》〈[[:s:삼국유사/권제1|권제1 진한條]]〉</ref>
[[일연]](1281),《[[삼국유사]]》〈[[:s:삼국유사/권제2|권제2 효소왕 시대 죽지랑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고구려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고조선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낙랑국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동부여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마한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말갈발해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백제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신라시조 혁거세왕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오가야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위만조선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제삼 노례왕 條}}

:* {{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제사 탈해왕(第四 脫解王) 條}}
::* {{lang|zh|

:* {{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연오랑(延烏郎)과 세오녀(細烏女) 條}}
::* {{lang|zh|

:* {{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지철로왕(智哲老王) 條}}
::* {{lang|zh|

:* {{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미추왕(末鄒王) 죽엽군(竹葉軍) 條}}
::* {{lang|zh|

:* {{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내물왕 김제상 條}}
::* {{lang|zh|

:* {{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도화녀 비형랑(桃花女 鼻荊郎) 條}}
::* {{lang|zh|

:* {{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김유신(金庾信) 條}}
::* {{lang|zh|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진한 條}}
{{따옴삼국유사|1|1 기이(紀異) 상편 태종 춘추공  條}}




‘’
《》
:* {{따옴삼국유사|2|2 기이(紀異) 하편 문무왕 법민 條}}
::* {{lang|zh|
{{따옴삼국유사|2|2 기이(紀異) 하편 효소왕 시대 죽지랑 條}}

:* {{따옴삼국유사|2|2 기이(紀異) 하편  혜공왕 條}}
::* {{lang|zh|


:* {{따옴삼국유사|2|2 기이(紀異) 하편  가락국기 條}}
::* {{lang|zh|

:* {{따옴삼국유사|2|2 기이(紀異) 하편  후백제 견훤 條}}
::* {{lang|zh|

:* {{따옴삼국유사|4|4 의해(義解)편  원광이 당나라로 유학을 가다 條}}
::* {{lang|zh|
==각주==
<references/>

<ref>[[#일연 (1281)|일연 (1281)]] [[:s:삼국유사/권제1#고조선14|古朝鮮 조(條) 제14~20문]] </ref>

*{{위키인용 |ref="일연 (1281)"| reference ={{서적 인용 |저자=[[일연]] |연도=1281 |제목=[[:s:삼국유사|삼국유사]]  |장=[[:s:삼국유사/권제1|권제1 왕력 제일(王曆第一)편]]  |ref={{sfnRef|일연 (1281)}} }} }}

홀태는 수확한 벼의 알곡을 훑는 탈곡도구이다. 빗살처럼 촘촘히 박힌 쇠 날 사이에 벼 이삭을 끼우고 잡아당겨 낟알을 떤다. 하루에 벼 5~6가마 정도를 탈곡할 수 있다. 이후 발로 밟는 탈곡기와 동력을 이용한 탈곡기를 거쳐 지금의 콤바인으로 발전하였다. 

홀태, 쌀박물관



Rice of Korea 
Rice Museum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South Korea 
Agricultural tools
Archaeological objects of Korea 
Agricultural tools

  

「最高人民法院關于適用《中華人民共和國擔保法》若干問題的解釋


==참고 문헌==
*[[이수광]](1614), 《[[:s:지봉유설|지봉유설]]》, 〈[[:s:지봉유설/19권|19권]]〉
 

:* {{지봉유설|2|2권 地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山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水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島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井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田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本國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外國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北虜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郡邑 條}}
::* {{lang|zh|

:* {{지봉유설|2|2권 風俗  條}}
::* {{lang|zh|

{{지봉유설|3|3권 賞功 條}}

{{따옴지봉유설|18|18권 仙道 條}}

{{지봉유설|19|19권 宮殿 條}}

:* {{지봉유설|19|19권 藥 條}}
::* {{lang|zh|

:* {{지봉유설|20|20권 獸 條}}
::* {{lang|zh|

{{따옴|1=[https://zh.wikipedia.org/w/index.php?title=%E5%8D%A0%E5%A9%86&oldid=42666119  위키백과 중국어판 〈占婆〉 (2017년)]}}

{{따옴|1=[https://zh.wikipedia.org/w/index.php?title=%E8%91%A3%E4%BA%8B%E4%BC%9A&oldid=42767942  위키백과 중국어판 〈董事會〉 (2017년)]}}

農民의 奮發促求 貧困멍에벗고 自立토록

*중국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사전편집실({{lang|zh|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현대한어사전(제5판){{lang|zh|(现代汉语词典(第5版))}}》(2005년) ISBN 978-7-100-04385-4

*민중서림, 《漢韓大字典》(2009년, 제3판) ISBN 978-89-387-0148-0

 〔〕


{{따옴|[[:s:zh:中华人民共和国合同法|《中华人民共和国合同法》(1999)]]}}

[[분류:일본어 히라가나]]
[[분류:중국어 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