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
임의의 문서로
로그인
설정
지금 기부하기
If this site has been useful to you, please give today.
위키낱말사전 소개
유의사항
검색
唯
언어
주시
편집
목차
1
한자
2
한국어
2.1
형태소
2.2
옛말
3
일본어
3.1
어간
4
중국어
4.1
부사
4.2
조사
4.3
동사
4.4
대명사
4.5
합성어
5
참고 문헌
한자
편집
훈
(訓)
오직
唯
음
(音)
유
부수
(部首)
口
(입 구) 3획
획수
(劃數)
총 11획
한국어
편집
형태소
편집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파생어:
唯唯諾諾
,
唯獨
,
唯名論
,
唯物
,
唯美
,
唯心
,
唯我
,
唯一
,
唯識論
,
唯識宗
옛말
편집
IPA
[
jwi
]
나루
를 뜻하는 고구려어.
일본어
편집
어간
편집
IPA
[
i/jɯi
]
(온요미),
[
tada
]
(쿤요미)
히라가나:
い
·
ゆい
(온요미),
ただ
(쿤요미)
로마자 표기: i/yui(온요미), tada(쿤요미)
어간의 하나.
중국어
편집
병음:
wéi
부사
편집
오직
,
다만
〔单单;只〕
唯驩演人淳秀好學
오직 환주(驩州)·연주(演州) 사람들만이 순박하고 빼어나며 학문을 좋아한다.
1614년
,
이수광
, 《
지봉유설
》, 〈
2권 外國 條
〉
2. 비록 ~하더라도
3. 때문에
4. 바라건대
常侍、黃門聞之,皆詣進謝,
唯
所錯置。
상시, 황문이 이를 듣고, 모두 나아가 사죄하며, 조치하는 바를 바랬다.
3세기
,
진수
,《
삼국지
》, 〈
권06 위서 동이원류전 (魏書 董二袁劉傳)
〉
조사
편집
1. 이(어조사)
2. 예, 공손(恭遜)하게 대답(對答)하는 말
동사
편집
생각하다
대답하다
.
대명사
편집
1. 누구 (수)
합성어
편집
唯獨
/
唯独
─ wéidú
다만
唯物
─ wéiwù
유물
唯心論
/
唯心论
─ wéixīnlùn
유심론
唯一
─ wéiyī
유일한
참고 문헌
편집
중국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사전편집실(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 《현대한어사전(제5판)
(现代汉语词典(第5版))
》(2005년)
ISBN 978-7-100-043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