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낱말사전:국제 음성 기호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히라가나| 일본어 가타카나| 스웨덴어| 그리스어| 러시아어| 히브리어| 스페인어| 에스페란토| 우니쉬

 
단축:
낱:IPA

본 문서는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의 한국어 IPA 표기에 관한 설명 및 예시에 관한 문서입니다. 이전에 한국어 낱말을 편집할 때는 IPA 틀을 이용하여 각 문서마다 개별적으로 IPA를 나타냈었고 이 때문에 편집자에 따라 표기 규칙이 제각각이였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그럴 필요 없이 따로 입력이 필요없는 틀을 새로 마련했으니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참여하는 여러분께서는 표기의 통일성을 위하여 ko-IPA 틀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보기에 든 낱말 가운데 녹색으로 표시된 낱말의 발음은 '#자모의 기본 IPA 표기'와 '#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을 서로 비교하여 살펴보면 좋습니다.

여기에 나와있는 표기는 시중의 다른 교재에 나와있는 정보와 다를 수도 있으니, 이 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모의 기본 아피에이[IPA] 표기 편집

닿소리(자음) 편집

입술소리 IPA 보기
  첫소리
IPA [p]
/pa̠ŋ/
보다 /po̞da̠/
가운데
IPA [b]
아버지 /a̠bʌ̹d͡ʑi/
넘보다 /nʌ̹mbo̞da̠/
받침[1]
IPA [p]
/pa̠p̚/
굽다 /kup̚t͈a̠/
  첫소리
IPA []
/pʰa̠/
펴다 /pʰjʌ̹da̠/
가운데
IPA []
슬프다 /sʰɯɭbʱɯda̠/
태풍 /tʰɛ̝bʱuŋ/
받침[1]
IPA [p]
/ip̚/
숲속 /sʰups͈o̞k̚/
  첫소리
IPA []
빵집 /p͈a̠ŋd͡ʑip̚/
빨리 /p͈a̠ɭʎi/
뽀뽀 /p͈o̞p͈o̞/
가운데
IPA []
기쁘다 /kip͈ɯda̠/
사뿐 /sʰa̠p͈un/
받침 - -
이와 잇몸소리 IPA 보기
  첫소리
IPA [t]
/to̞ŋ/
더위 /tʌ̹ɥi/
가운데
IPA [d]
하다 /ha̠da̠/
구두 /kudu/
받침[1]
IPA [t]
받침 /pa̠t̚t͡ɕʰim/
숟가락 /sʰut̚k͈a̠ɾa̠k̚/
  첫소리
IPA []
타다 /tʰa̠da̠/
터지다 /tʰʌ̹d͡ʑida̠/
가운데
IPA []
농토 /no̞ŋdʱo̞/
배탈 /pɛ̝dʱa̠ɭ/
받침[1]
IPA [t]
/k͈ɯt̚/
같다 /ka̠t̚t͈a̠/
  첫소리
IPA []
딸기 /t͈a̠ɭɡi/
뚜쟁이 /t͈ud͡ʑɛ̝ŋi/
가운데
IPA []
가래떡 /ka̠ɾɛ̝t͈ʌ̹k̚/
똑똑하다 /t͈o̞k̚t͈o̞kʰa̠da̠/
받침 - -
  첫소리
IPA [sʰ / ɕʰ]
소리 /sʰo̞ɾi/
사람 /sʰa̠ɾa̠m/
신라 /ɕʰiɭɭa̠/
가운데
IPA [sʰ / ɕʰ]
모습 /mo̞sʰɯp̚/
자식 /t͡ɕa̠ɕʰik̚/
받침[1]
IPA [t]
/ka̠t̚/
낫다 /na̠t̚t͈a̠/
웃옷 /udo̞t̚/
  첫소리
IPA [s͈ / ɕ͈]
싸구려 /s͈a̠ɡuɾjʌ̹//
씀씀이 /s͈ɯms͈ɯmi/
씨앗 /ɕ͈ia̠t̚/
가운데
IPA []
애쓰다 /ɛ̝s͈ɯda̠/
불쑥 /puɭs͈uk̚/
받침[1]
IPA [t]
-습니다 /a̠t̚s͈ɯmnida̠/
- /ʌ̹t̚t͈a̠/
목 천장 소리 IPA 보기
  첫소리
IPA [k]
가수 /ka̠sʰu/
검정 /kʌ̹md͡ʑʌ̹ŋ/
가운데
IPA [ɡ]
고기 /ko̞ɡi/
아가씨 /a̠ɡa̠ɕ͈i/
받침[1]
IPA [k]
/pɛ̝k̚/
수직선 /sʰud͡ʑiks͈ʌ̹n/
  첫소리
IPA []
/kʰa̠n/
컴컴하다 /kʰʌ̹mkʰʌ̹mɦa̠da̠/
가운데
IPA [ɡʱ]
빈칸 /pinɡʱa̠n/
/muɭɡʱʌ̹p̚/
받침
IPA [k]
부엌 /puʌ̹k̚/
  첫소리
IPA []
꼬리 /k͈o̞ɾi/
까불다 /k͈a̠buɭda̠/
가운데
IPA []
바깥 /pa̠k͈a̠t̚/
임꺽정 /imk͈ʌ̹k̚t͡ɕ͈ʌ̹ŋ/
받침[1]
IPA [k]
/pa̠k̚/
꺾다 /k͈ʌ̹k̚t͈a̠/
입천장 소리 IPA 보기
  첫소리
IPA [t͡ɕ]
조국 /t͡ɕo̞ɡuk̚/
진리 /t͡ɕiɭʎi/
가운데
IPA [d͡ʑ]
자주 /t͡ɕa̠d͡ʑu/
친절 /t͡ɕʰind͡ʑʌ̹ɭ/
받침[1]
IPA [t]
/na̠t̚/
잊다 /it̚t͈a̠/
  첫소리
IPA [t͡ɕʰ]
처음 /t͡ɕʰʌ̹ɯm/
찾다 /t͡ɕʰa̠t̚t͈a̠/
가운데
IPA [d͡ʑʱ]
아차산 /a̠d͡ʑʱa̠sʰa̠n/
고추 /ko̞d͡ʑʱu/
받침
IPA [t]
/na̠t̚/
빛나다 /pinna̠da̠/
꽃잎 /k͈o̞nnip̚/
  첫소리
IPA [t͡ɕ͈]
짜다 /t͡ɕ͈a̠da̠/
찔끔 /t͡ɕ͈iɭk͈ɯm/
가운데
IPA [t͡ɕ͈]
아찔하다 /a̠t͡ɕ͈iɾɦa̠da̠/
짝짝이 /t͡ɕ͈a̠k̚t͡ɕ͈a̠ɡi/
받침 - -
목구멍소리 IPA 보기
  첫소리
IPA [h / ɸ]
하다 /ha̠da̠/
호랑이 /ɸʷo̞ɾa̠ŋi/
가운데
IPA [ɦ / β]
다하다 /ta̠ɦa̠da̠/
기호 /kiβʷo̞/
받침[2]
IPA [(t)]
낳다 /ˈna̠ːtʰa̠/
닿소리 /ta̠s͈o̞ɾi/
콧소리 IPA 보기
  첫소리
IPA [m]
마음 /ma̠ɯm/
먹다 /mʌ̹k̚t͈a̠/
가운데
IPA [m]
목구멍 /mo̞k̚k͈umʌ̹ŋ/
고물 /ko̞muɭ/
받침
IPA [m]
엄청 /ʌ̹md͡ʑʱʌ̹ŋ/
한심하다 /ha̠nɕʰimɦa̠da̠/
  첫소리
IPA [n]
나리 /na̠ɾi/
너희 /nʌ̹ʝi/
가운데
IPA [n / ɲ]
사나이 /sʰa̠na̠i/
저녁 /t͡ɕʌ̹ɲjʌ̹k̚/
어머니 /ʌ̹mʌ̹ni/
어금니 /ʌ̹ɡɯmni/
받침
IPA [n]
가난하다 /ka̠na̠nɦa̠da̠/
돌연히 /to̞ɾjʌ̹nʝi/
  첫소리 - 어제 /ʌ̹d͡ʑe̞/
오늘 /o̞nɯɭ/
가운데 - 세월 /sʰe̞wʌ̹ɭ/
속옷 /sʰo̞ɡo̞t̚/
받침
IPA [ŋ]
성공 /sʰʌ̹ŋɡo̞ŋ/
사랑 /sʰa̠ɾa̠ŋ/
구르는 소리 IPA 보기
  첫소리
IPA [ɾ]
르완다 /ɾɯwa̠nda̠/
라면 /ɾa̠mjʌ̹n/
가운데
IPA [ɾ]
자랑 /t͡ɕa̠ɾa̠ŋ/
구르다 /kuɾɯda̠/
받침
IPA [ɭ / ɾ]
솔잎 /sʰo̞ɭʎip̚/
절약 /t͡ɕʌ̹ɾja̠k̚/
  1. 1.0 1.1 1.2 1.3 1.4 1.5 1.6 1.7 1.8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로 날 수 있다.
  2.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로 날 수 있다.

홀소리(모음) 편집

홀소리 IPA 보기
 
IPA [a]
아내 /a̠nɛ̝/
사악 /sʰa̠a̠k̚/
 
IPA [ʌ̹]
어제 /ʌ̹d͡ʑe̞/
억지 /ʌ̹k̚t͡ɕ͈i/
 
IPA [o]
오다 /o̞da̠/
구혼 /kuβo̞n/
 
IPA [u]
우정 /ud͡ʑʌ̹ŋ/
물다 /muɭda̠/
 
IPA [ɯ]
으흠 /ɯɣɯm/
그윽하다 /kɯɯkʰa̠da̠/
 
IPA [ɛ]
애정 /ɛ̝d͡ʑʌ̹ŋ/
여객 /jʌ̹ɡɛ̝k̚/
 
IPA [jɛ̝]
는 /jɛ̝nɯn/
가 /kjɛ̝ɡa̠/
 
IPA [wa]
와장창 /wa̠d͡ʑa̠ŋd͡ʑʱa̠ŋ/
수확 /sʰuβwa̠k̚/
 
IPA [ø / we]
외아들 /ø̞a̠dɯɭ/ 또는 /we̞a̠dɯɭ/
괴물 /kø̞muɭ/ 또는 /kwe̞muɭ/
 
IPA [wɛ̝]
왜그래 /wɛ̝ɡɯɾɛ̝/
괘씸하다 /kwɛ̝ɕ͈imɦa̠da̠/
 
IPA [ɰi / i]
의리 /ɰiɾi/
희망 /çima̠ŋ/
홀소리 IPA 보기
 
IPA [ja̠]
야만 /ja̠ma̠n/
조약 /t͡ɕo̞ja̠k̚/
 
IPA []
여자 /jʌ̹d͡ʑa̠/
자연 /t͡ɕa̠jʌ̹n/
 
IPA [jo]
요강 /joɡa̠ŋ/
욕심 /jokɕ͈im/
 
IPA [ju]
유리 /juɾi/
정육점 /t͡ɕʌ̹ŋjuk̚t͡ɕ͈ʌ̹m/
 
IPA [i]
이자 /id͡ʑa̠/
소식 /sʰo̞ɕʰik̚/
 
IPA [e]
에구 /e̞ɡu/
셋방 /sʰe̞t̚p͈a̠ŋ/
 
IPA [je]
예쁘다 /je̞p͈ɯda̠/
옛날 /ˈje̞ːnna̠ɭ/
 
IPA []
워리 /wʌ̹ɾi/
서러웠다 /sʰʌ̹ɾʌ̹wʌ̹t̚t͈a̠/
 
IPA [ɥi / y]
위성 /ɥisʰʌ̹ŋ/ 또는 /ysʰʌ̹ŋ/
쉼표 /ʃʰɥimbʱjo/ 또는 /ʃʰymbʱjo/
 
IPA [we]
/we̞n/
궤짝 /kwe̞t͡ɕ͈a̠k̚/

겹받침 편집

  • 한국어 겹받침은 모두 11자 이다. 겹받침은 언제나 홑소리 값을 갖는데, ㄺ, ㄻ, ㄼ, ㄿ을 빼고는 첫째 자음이 겹받침의 소리 값이 된다.
  • 의 소리 값은 언제나 둘째 자음이다.
  • ㄺ, ㄻ, ㄼ은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에 따라서 첫째 또는 둘째 자음이 그 소리 값을 잃게 된다.
  • 겹받침을 가진 두 글자 이상의 모든 낱말은 #연음 법칙, #된소리나기, #거센소리나기에 따라 음운변화를 한다.
겹받침 IPA 보기
 
IPA [k]
/sʰa̠k̚/
삯일 /sʰa̠kniɭ/ -> /sʰa̠ŋniɭ/
/nʌ̹k̚/
넋두리 /nʌ̹k̚sduɾi/ -> /nʌ̹k̚t͈uɾi/
 
IPA [n]
앉- /a̠n/
앉다 /a̠nt͈a̠/
얹- /ʌ̹n/
얹다 /ʌ̹nt͈a̠/
 
IPA [n]
않- /a̠n/
않다 /a̠n(t)da̠/ -> /a̠ntʰa̠/
점잖다 /t͡ɕɘːmd͡ʑan(t)da̠/ -> /t͡ɕɘːmd͡ʑa̠ntʰa̠/
 
IPA [(ɭ)k / ɭ(k)]
/ta̠k̚/
닭장 /ta̠k̚t͡ɕ͈a̠ŋ/
읽- /ik̚/
읽다 /ik̚t͈a̠/
 
IPA [(ɭ)m / ɭ(m)]
/sʰa̠ːm/
삶다 /sʰa̠mt͈a̠/
젊- /ˈt͡ɕɘːm/
젊은이 /t͡ɕʌ̹ɭmɯni/
 
IPA [ɭ(p) / (ɭ)p]
넓- /nʌ̹ɭ/
넓다 /nʌ̹ɭt͈a̠/
밟- /ˈpa̠ːp̚/
밟다 /ˈpa̠ːp̚t͈a̠/
 
IPA [ɭ(s)]
/ko̞ɭ/
 
IPA [ɭ(tʰ)]
핥- /ha̠ɭ/
핥다 /ha̠ɭt͈a̠/
훑다 /ɸʷuɭt͈a̠/
 
IPA [(ɭ)pʰ]
읊- /ɯp̚/
읊다 /ɯp̚t͈a̠/
읊조리다 /ɯp̚t͡ɕ͈o̞ɾida̠/
 
IPA [ɭ(h)]
- /o̞ɭ/
옳다 /o̞ɭtʰa̠/
잃다 /iɭtʰa̠/
싫다 /ɕʰiɭtʰa̠/
 
IPA [p(s)]
없- /ˈɘːp̚/
없다 /ˈɘːp̚t͈a̠/
/ka̠p̚/
값어치 /ka̠bʌ̹t͡ɕʰi/

자모의 다른 IPA 표기 편집

아래에는 흔히 볼 수 있는 몇몇 한글 자모의 서로 다른 IPA 표기입니다.

자모 한국어 위키낱말사전 다른 한국어 교재
[ʌ̹] [ə] / [ɔ]
[ɛ] [æ]
[t͡ɕ] / [d͡ʑ] [ʃ] / [ʧ] / [ʒ] / [ʤ]
[c] / [ɟ]

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 편집

다음의 보기를 살펴보면 한국어에서 음운 변화가 무엇을 뜻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의 IPA 표기 [mo̞t̚]에서 끝소리 [-t]가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화된 소리 ('ㅊ, ㅌ, ㅍ' 제외):
ㅅ + ㄱ 가다
IPA [moːt ka̠da̠]
─>
IPA [mo̞ːt̚ k͈a̠da̠]
ㅅ + ㄴ 넣다
IPA [moːt nʌ̹tʰa̠]
─>
IPA [mo̞ːn nʌ̹tʰa̠]
ㅅ + ㄷ 듣다
IPA [moːt tɯt̚t͈a̠]
─>
IPA [mo̞ːt̚ t͈ɯt̚t͈a̠]
ㅅ + ㅁ 먹다
IPA [moːt mʌ̹k̚t͈a̠]
─>
IPA [mo̞ːn mʌ̹k̚t͈a̠]
ㅅ + ㅂ 보다
IPA [moːt poda]
─>
IPA [mo̞ːt̚ p͈o̞da̠]
ㅅ + ㅅ 사다
IPA [moːt sʰa̠da̠]
─>
IPA [mo̞ːt̚ s͈a̠da̠]
ㅅ + ㅈ 자다
IPA [moːt t͡ɕa̠da̠]
─>
IPA [mo̞ːt̚ t͡ɕ͈a̠da̠]
ㅅ + ㅊ 참다
IPA [moːt t͡ɕʰa̠mda̠]
─>
IPA [mo̞ːt̚ t͡ɕʰa̠mda̠]
ㅅ + ㅌ 타다
IPA [moːt tʰada]
─>
IPA [mo̞ːt̚ tʰa̠da̠]
ㅅ + ㅍ 팔다
IPA [moːt pʰalda]
─>
IPA [mo̞ːt̚ pʰa̠ɭda̠]
ㅅ + ㅎ 못하다
IPA [moːt hada]
─>
IPA [mo̞ːtʰa̠da̠]

연음 법칙 편집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앞선 글자가 받침이 있으며 그리고 뒤에 오는 글자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로 넘어가며 발음되는 것을 연음법칙이라 한다. 한글의 IPA는 다음의 연음법칙에 따라 표기해야 한다.

1. 받침 + 모음
손아귀
IPA [sʰo̞na̠ɡɥi ─> sʰo̞na̠ɡɥi]
일요일
IPA [iɭjoiɭ ─> iɾjoiɭ]
2. 받침 + ㅎ
국호
IPA [kukɸʷo ─> kukʰo]
결합
IPA [kjʌ̹ɭɦa̠p ─> kjʌ̹ɾɦa̠p̚]
3. 받침 ㄹ + 모음
[i, j] (이, 야, 여, 요, 유, 얘, 예) ─> [ɭ] 중복
솔잎
IPA [sʰo̞ɭip̚ ─> sʰo̞ɭʎip̚]
주의: 한자어의 경우에는 [ɭ] 중복하지 않는다.
살인
IPA [sʰa̠ɭin ─> sʰa̠ɾin]
절약
IPA [t͡ɕʌ̹ɭja̠k̚ ─> t͡ɕʌ̹ɾja̠k̚]
돌연히
IPA [to̞ɭjʌ̹nʝi ─> to̞ɾjʌ̹nʝi]
4. 받침 ㄱ + 모음 ─> [g]
한국어
IPA [ha̠ːnɡukʌ̹ ─> ha̠ːnɡuɡʌ̹]
악인
IPA [a̠kin ─> a̠ɡin]
5. 받침 ㄷ + 모음 ('이' 제외) ─> [d]
받았다
IPA [pa̠ta̠t̚t͈a̠ ─> pa̠da̠t̚t͈a̠]
6. 받침 ㅂ, ㅍ + 모음 ─> [b]
답안지
IPA [ta̠pa̠nd͡ʑi ─> ta̠ba̠nd͡ʑi]
7. 받침 ㅈ, ㅊ + 모음 ─> [d͡ʑ]
맞았다
IPA [ma̠ta̠t̚t͈a̠ ─> ma̠d͡ʑa̠t̚t͈a̠]
8. 받침 ㅅ, ㅆ + 모음 ─> [sʰ / ɕʰ]
멋있다
IPA [mʌ̹tit̚t͈a̠ ─> mʌ̹ɕʰit̚t͈a̠]

자음 동화 편집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소리로 나는 것을 자음 동화라고 부른다. 자음 동화는 다음의 경우에 일어난다.

  • 1. ㄴ [n] + ㄹ [ɾ] ─> [ɭʎ / ɭɭ]
산림
IPA [sʰa̠nɾim ─> sʰa̠ɭʎim]
한라산
IPA [ha̠nɾa̠sʰa̠n ─> ha̠ɭɭa̠sʰa̠n]
  • 2. ㄹ [ɭ] + ㄴ [n]─> [ɭɭ]
실내
IPA [ɕʰiɭnɛ̝ ─> ɕʰiɭɭɛ̝]
가을날
IPA [ka̠ɯɭna̠ɭ ─> ka̠ɯɭɭa̠ɭ]
  • 3. ㅂ [p] + ㅁ [m] ─> [mm]
업무
IPA [ʌ̹pmu ─> ʌ̹mmu]
  • 4. ㄷ / ㅅ / ㅈ / ㅊ / ㅎ [t] + ㄴ [n] ─> [nn]
받는다
IPA [pa̠tnɯnda̠ ─> pa̠nnɯnda̠]
낱낱
IPA [na̠ːtna̠t̚ ─> na̠ːnna̠t̚]
못나다
IPA [mo̞ːtna̠da ─> mo̞ːnna̠da]
맺는다
IPA [mɛ̝tnɯnda̠ ─> mɛ̝nnɯnda̠]
꽃노래
IPA [k͈o̞tno̞ɾɛ̝ ─> k͈o̞nno̞ɾɛ̝]
낳는다
IPA [na̠ːtnɯnda̠ ─> na̠ːnnɯnda̠]

된소리나기 편집

된소리나기는 낱말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난다.

앞선 글자의 받침:

  • ㄱ, ㅋ, ㄲ ─> [k]
IPA [ka̠k̚]
  • ㄷ, ㅌ, ㅅ, ㅈ, ㅊ ─> [t]
디귿
IPA [tiɡɯt̚]
티읕
IPA [tʰiɯt̚]
IPA [o̞t̚]
IPA [na̠t̚]
IPA [k͈o̞t̚]
히읗
IPA [çiɯ]
  • ㅂ, ㅍ ─> [p]
IPA [pa̠p̚]
IPA [ip̚]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앞선 받침의 소리 값의 영향을 받아 뒤에 오는 첫 자음이 된 소리로 나는 것을 '된소리나기'라 부른다. 한글의 된소리에는 아래의 다섯 가지가 있으며,

그리고 된소리나기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 +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2. 합성어에서 첫 의미소의 받침 + 빠진 사이시옷 + 뒤 의미소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이때 1번 2번 가릴 것 없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ㄱ, ㄷ, ㅂ, ㅅ, ㅈ)이 각각 ㄲ, ㄸ, ㅃ, ㅆ, ㅉ으로 된소리가 난다.
  • 1) ㄲ
ㄱ + ㄱ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ㄱ
빠진 사이시옷 + ㄱ
국가
IPA [kuk̚k͈a̠]
받기
IPA [pa̠t̚k͈i]
덮개
IPA [tʌ̹p̚k͈ɛ̝]
꽃가루
IPA [k͈o̞t̚k͈a̠ɾu]
물(ㅅ)고기
IPA [muɭɡo̞ɡi]
문(ㅅ)고리
IPA [munɡo̞ɾi]
곰(ㅅ)국
IPA [ko̞mɡuk̚]
  • 주의: 불고기 /puɭɡo̞ɡi/에는 사이시옷이 들지 않는다.
    '살(ㅎ)고기'는 살코기 /sʰa̠ɭkʰo̞ɡi/로 표기한다. (한글 맞춤법 31항 2)
  • 2) ㄸ
ㄱ + ㄷ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ㄷ
빠진 사이시옷 + ㄷ
받다
IPA [pa̠t̚t͈a̠]
깎다
IPA [k͈a̠k̚t͈a̠]
같다
IPA [ka̠t̚t͈a̠]
곱다
IPA [ko̞p̚t͈a̠]
꽃동산
IPA [k͈o̞t̚t͈o̞ŋsʰa̠n]
손(ㅅ)등
IPA [sʰo̞ndɯŋ]
갈(ㅅ)대
IPA [ka̠ɭdɛ̝]
  • 3) ㅃ
ㄱ + ㅂ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ㅂ
빠진 사이시옷 + ㅂ
돋보기
IPA [to̞t̚p͈o̞ɡi]
맛보다
IPA [ma̠t̚p͈o̞da̠]
젖비린내
IPA [t͡ɕʌ̹t̚p͈iɾinnɛ̝]
앞발
IPA [a̠p̚p͈a̠ɭ]
술(ㅅ)병
IPA [sʰuɭp͈jʌ̹ŋ]
문(ㅅ)법
IPA [munp͈ʌ̹p̚]
  • 4) ㅆ
ㄱ + ㅅ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ㅅ
빠진 사이시옷 + ㅅ
낚시꾼
IPA [na̠kɕ͈ik͈un]
앞서다
IPA [a̠ps͈ʌ̹da̠]
닿소리
IPA [ta̠s͈o̞ɾi]
촌(ㅅ)사람
IPA [t͡ɕʰo̞ns͈a̠ɾa̠m]
창(ㅅ)살
IPA [t͡ɕʰa̠ŋs͈a̠ɭ]
  • 5) ㅉ
ㄱ + ㅈ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ㅈ
빠진 사이시옷 + ㅈ
숙제
IPA [sʰuk̚t͡ɕ͈e̞]
끝장
IPA [k͈ɯt̚t͡ɕ͈a̠ŋ]
앞장서다
IPA [a̠p̚t͡ɕ͈a̠ŋsʰʌ̹da̠]
염(ㅅ)증
IPA [jʌ̹mt͡ɕ͈ɯŋ]
벌(ㅅ)점
IPA [pʌ̹ɭt͡ɕ͈ʌ̹m]

거센소리나기 편집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첫 자음 과 부딪치거나 또는 앞선 글자의 받침 이 뒤에 오는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이 두 자음이 한데 어울려 거센 한 소리로 나는 것을 '거센소리나기'라 부른다. 이 때에는 앞선 글자의 받침은 대개 빠진다.

  • 1. 받침 + 뒤따르는 첫 자음 ㅎ
  • 1) ㄱ [k] + ㅎ [h] ─> [kʰ]
직할시
IPA [t͡ɕikhaɭɕʰi ─> t͡ɕikʰaɭɕʰi]
  • 2) ㅂ [p] + ㅎ [h] ─> [pʰ]
밥하다
IPA [paphada ─> papʰada]
  • 3) ㄷ / ㅅ / ㅈ [t] + ㅎ [h] ─> [t͡ɕʰ], [tʰ]
걷히다
IPA [kəthida ─> kʌ̹t͡ɕʰida]
못하다
IPA [mothada ─> mo̞tʰada]
맞히다
IPA [mathida ─> mat͡ɕʰida]
  • 2. 앞선 받침 ㅎ + 뒤따르는 첫 자음 ㄱ, ㄷ, ㅈ
  • 1) ㅎ [(t)] + ㄱ [k] ─> [kʰ]
넣고서
IPA [nʌ̹(t)ko̞sʰʌ̹ ─> nʌ̹kʰo̞sʰʌ̹]
  • 2) ㅎ [(t)] + ㄷ [t] ─> [tʰ]
낳다
IPA [na̠(t)ta̠ ─> na̠tʰa̠]
  • 3) ㅎ [(t)] + ㅈ [t͡ɕ] ─> [t͡ɕʰ]
좋지만
IPA [t͡ɕo̞(t)t͡ɕima̠n ─> t͡ɕo̞t͡ɕʰima̠n]

콧소리나기 편집

'콧소리나기'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둘로 나누어지며 이는 자음 동화 현상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

  • 1번-3번: 을 뺀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 자음 (ㄴ, ㅁ)과 부딪칠 때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의 영향을 받아 같이 콧소리가 나거나
  • 4번: 모음으로 끝나거나 혹은 받침을 가진 앞선 낱말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 예로 시작하는 낱말이 올 때 울리는 콧소리(ɲ)가 난다.
  • 1. 받침 ㅂ, ㅍ [p] + ㄴ [n] / ㅁ [m] ─> [mn] / [mm]
입냄새
IPA [ipnɛ̝msʰɛ̝ ─> imnɛ̝msʰɛ̝]
앞니
IPA [a̠pni ─> a̠mni]
앞머리
IPA [a̠pmʌ̹ɾi ─> a̠mmʌ̹ɾi]
  • 2. 받침 ㄷ / ㅌ / ㅅ / ㅈ / ㅊ / ㅎ [t, (t)] + ㄴ [n], ㅁ [m] ─> [nn] / [nm]
닫는다
IPA [ta̠tnɯnda̠ ─> ta̠nnɯnda̠]
겉모양
IPA [kʌ̹tmo̞ja̠ŋ ─> kʌ̹nmo̞ja̠ŋ]
송곳니
IPA [sʰo̞ŋgotni ─> sʰo̞ŋɡo̞nni]
젖먹이
IPA [t͡ɕʌ̹tmʌ̹ɡi ─> t͡ɕʌ̹nmʌ̹ɡi]
불꽃놀이
IPA [puɭk͈o̞tno̞ɾi ─> puɭk͈o̞nno̞ɾi]
낳는다
IPA [na̠tnɯnda̠ ─> na̠nnɯnda̠]
  • 3. 받침 ㄱ / ㄲ / ㄺ [k] + ㄴ [n], ㅁ [m] ─> [ŋm] / [ŋn]
복날
IPA [po̞kna̠ɭ ─> po̞ŋna̠ɭ]
꺾는다
IPA [k͈ʌ̹knɯnda̠ ─> k͈ʌ̹ŋnɯnda̠]
식물
IPA [ɕʰiŋmuɭ ─> ɕʰiŋmuɭ]
흙먼지
IPA [xɯkmʌ̹nd͡ʑi ─> xɯŋmʌ̹nd͡ʑi]
  • 4. 모음 / ㄴ + 야, 여, 요, 유, 예 ─> [ɲ]
그냥
IPA [kɯnjaŋ ─> kɯɲja̠ŋ]
자녀
IPA [t͡ɕa̠njʌ̹ ─> t͡ɕa̠ɲjʌ̹]
인용
IPA [injoŋ ─> iɲjoŋ]
온유
IPA [onju ─> o̞ɲju]
문예
IPA [munje ─> muɲje̞]

사이시옷 편집

위의 #된소리나기에서 살펴본 빠진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의 발음 밖에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은 다음의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 1번은 된소리나기에 해당되며 2번은 콧소리나기에 해당된다.

  • 1. 합성어 가운데 앞 낱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바닷가
IPA [pa̠da̠t̚k͈a̠]
옷장
IPA [o̞t̚t͡ɕ͈a̠ŋ]
칫솔
IPA [t͡ɕʰit̚s͈o̞ɭ]
잿빛
IPA [t͡ɕɛ̝t̚p͈it̚]
  • 2. 뒷 낱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
빗물
IPA [pinmuɭ]
혼잣말
IPA [ɸʷo̞nd͡ʑa̠nma̠ɭ]
뒷날
IPA [tɥinna̠ɭ / tynna̠ɭ]

시옷 + 모음 편집

또는 이 모음 '이', '여', '야', '요', '유'에 함께 이루어진 낱말은 [s] ─> [ʃ] / [ʃʼ]로 표기한다. 이때에 1번의 경우는 한국어 본래의 낱말이며, 2번의 경우에는 (주로 영어에서 온) 외래어이다.

  • 1.
시간
IPA [ɕʰiɡa̠n]
점심
IPA [t͡ɕʌ̹mɕʰim]
교실
IPA [kjoɕʰiɭ]
씨앗
IPA [ɕ͈ia̠t̚]
씩씩하다
IPA [ɕ͈ikɕ͈ikʰa̠da̠]
  • 2.
샤워
IPA [ɕʰja̠wʌ̹]
로션
IPA [ɾo̞ɕʰjʌ̹n]
쇼하다
IPA [ɕʰjoɦa̠da̠]
슈팅
IPA [ɕʰjutʰiŋ]

낱말 '의' 편집

'' [ɰi]는 낱말에 따라 '이'로 발음하기도 한다. (표준발음법 제5항 참조)

  • 1. '의'로 발음할 때
의무
IPA [ɰimu]
의심
IPA [ɰiɕʰim]
의존
IPA [ɰid͡ʑo̞n]
  • 2. '이'로 발음할 때
주의
IPA [t͡ɕuɰi / t͡ɕui]
의의
IPA [ɰiɰi / ɰii]
합의
IPA [ha̠bɰi / ha̠bi]
흰색
IPA [çinsʰɛ̝k̚]
영희
IPA [jʌ̹ŋʝi]
띄어쓰기
IPA [t͈iʌ̹s͈ɯɡi]
씌우다
IPA [ɕ͈iuda̠]

긴소리 편집

한국어 낱말에서 모음의 긴소리는 언제나 첫 음절에서만 일어난다. 다시 말해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긴소리를 가진 글자가 첫째 음절 다음에 올 때에는 그 긴소리 값을 잃게 된다.

눈사람
IPA [nuːnsʰa̠ɾa̠m]
싸라기눈
IPA [s͈a̠ɾa̠ɡinun]
밤송이
IPA [pa̠ːmsʰo̞ŋi]
군밤
IPA [kuːnba̠m]
너도밤나무
IPA [nʌ̹do̞ba̠mna̠mu]
병균
IPA [pjʌ̹ːŋɡjun]
질병
IPA [t͡ɕiɭbjʌ̹ŋ]
상사병
IPA [sʰa̠ŋsʰa̠bjʌ̹ŋ]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