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
임의의 문서로
로그인
설정
기부
위키낱말사전 소개
유의사항
검색
遂
언어
주시
편집
목차
1
한자
2
일본어
2.1
어간
2.2
파생어
3
중국어
3.1
동사
3.2
부사
4
각주
5
참고 문헌
한자
편집
훈
(訓)
이루다
,
하다
遂
음
(音)
수
부수
(部首)
辶
(
辵
), (쉬엄쉬엄 갈 착) 4획
획수
(劃數)
총 13획
일본어
편집
어간
편집
IPA
[
ʣɯi
]
(온요미 고온 표외),
[
sɯi
]
(온요미 칸온)
IPA
[
togeɾɯ
]
(쿤요미 표내),
[
ʦɯinʲi
]
(표외)
히라가나:
ずい
(온요미 고온 표외),
すい
(온요미 칸온),
とげる
(쿤요미 표내),
ついに
(표외)
로마자 표기: zui(온요미 고온 표외)/sui(온요미 칸온)/togeru(쿤요미 표내)/tsuini(표외)
1.
어간의 하나.
파생어
편집
遂行
/
すいこう
수행
중국어
편집
어원:
병음:
suì
동사
편집
1.
이루다
,
성취하다
;
하다
2.
나아가다, 전진하다.
不能退,不能
遂
,물러날 수도 없고 나아갈 수도 없다.
[
1
]
부사
편집
1.
드디어
,
마침내
,
그래서
,
곧
,
즉시
,
결국
遂
進擊烏丸 /
遂
进击乌丸 ― suì jìn jī wūwán
결국 나아가 오환을 무찔렀다.
3세기
,
진수
,《
삼국지
》, 〈
권30 위서 오환선비동이전 (魏書 烏丸鮮卑東夷傳)
〉
遂
發兵攻之 羅王德曼遣使請救於唐
마침내 군대를 발동하여 공격하니 신라 왕 덕만(德曼)이 보낸 사신이 당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1145년
,
김부식
, 《
삼국사기
》, 〈
권28 의자왕 條
〉 (
漢文本
)
각주
편집
↑
周易/大壯
참고 문헌
편집
(주)오픈마인드인포테인먼트, 디지털 한자사전 (네이버 한자사전)
네이버 제공, 교학사 중한사전 (박영종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