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편집
로마자 표기 목록
국어의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mudang
국어의 로마자 표기 (음역)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
mudang
매큔-라이샤워 표기
McCune-Reischauer
mudang
예일 표기
Yale Romanization
mutang

명사

편집
  • 어원:무(16세기)>무당(16세기~현재)
  • 설명: 현대 국어 ‘무당’의 옛말인 ‘무’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종성 ‘ㆁ’이 쓰이지 않게 됨에 따라 ‘무당’으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이형태/이표기: 무, 무당
  • 세기별 용례
뜻풀이
  • 16세기 : (무, 무당)
  • 무과 화이와 과 이  할미 니 더욱 소히 야 ≪1518 번소 7:27ㄴ≫
  • 巫 무당 무 ≪1576 신합 상:17ㄴ≫
  • 17세기 : (무당)
  •  샹녜 어셔 죽거지라 고 무당 신기 아니더라 ≪1617 동속 열:8ㄴ≫
  •  밧사람과 즁 거와 무당을 일졀히 문뎡의 드리디 말고 ≪17세기 두경 15ㄱ≫
  • 18세기 : (무당)
  • 무당과 의원을 밋디 아니샤 禱祀 말라 조 계틱더시니 ≪1737 어내 2:48ㄱ≫
  • 무당 무 巫 화랑이 격 覡 ≪1781-1787 왜해 상:15ㄴ≫
  • 19세기 : (무당)
  • 화랑이 覡 무당 ≪1880 한불 104≫
  • 무당 巫黨 楚些 男覡女巫 ≪1895 국한 119≫
  1.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 주로 여자를 이른다. 한자를 빌려 ‘巫堂’으로 적기도 한다.
  • 무당을 불러 굿을 하다.
  • 무대 위에서 열정적으로 연기하는 배우의 모습은 신들린 무당 같았다.
  • 비슷한말: 무(巫), 무자(巫子), 사무(師巫)
  • 높임말: 대신(大神)
  • 지역어(방언) : 굿재이(강원, 경남, 전남, 충북), 무덩(경기, 황해), 암무이(경남), 단골레(전남), 당골(전남), 당굴(전남), 무댕이(전남), 당골네(전라), 서당공중이(제주), 신방(神房)(제주), 심방(제주), 심벵(제주), 아른종(제주), 알은종(제주), 영신(충남), 스승(평북, 함경), 신선(평안), 무대(함경), 무댕(함북), 무예(함북), 스스이(함북), 스성(황해)
  이 문서에는 국립국어원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로 배포한 여러 인터넷 사전(우리말샘, 한국어기초사전, 한국어-영어 학습사전)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