རྒྱན་ཚིག་

편집

해당 문서의 내용이 혹 출처로 밝힌 문헌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오신 것인가요? 만일 그렇다고 한다면 이는 위키낱말사전의 저작권 정책과 호환되지 않다고 판단되므로 해당 내용은 삭제되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위키낱말사전:저작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aram 논의 2019년 1월 5일 (토) 00:26 (KST)답변

그대로 옮겨온 것은 아니구요, 티베트어-티베트어 사전인 མོན་ལམ་ཚིག་མཛོད་ཆེན་མོ་(묀람대사전)에서 형용사들의 예가 되는 단어들을 보고 몇 가지 가져와서 뜻을 붙여 적은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 문제가 될까요? (필요하다면 사전을 배포한 곳에 따로 허락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romakor (토론) 2019년 1월 5일 (토) 09:45 (KST)답변
앞서 말씀 드린 이유는, 해당 사전의 권리가 별도로 보호되고 있다면 이는 위키낱말사전에서 이용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일 위키낱말사전:자유게시판/2017년_12월#한국에스페란토협회에서 에스페란토 사전을 CC BY-SA 저작권으로 공개하였습니다.의 사례와 같이 상호 간에 저작권 라이선스가 호환된다면 문제가 없습니다. --Garam 논의 2019년 1월 6일 (일) 02:35 (KST)답변
네. 알겠습니다. 그러한 저작권 문제와 관련하여 해결 방법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체적인 사례까지 찾아주셔서 고맙습니다.^^

어원

편집

현재 어원을 문단으로 분리시키는 부분은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편집 시에 참고해주세요. --Garam 논의 2019년 1월 2일 (수) 13:47 (KST)답변

루아 모듈 안내

편집

http://www.thlib.org/reference/transliteration/wyconverter.php 라는 사이트에 Tibetan Transliteration을 위한 FreeWare가 올려져 있습니다. JavaCode로 된 것이 있는데 이것으로 아까 말씀하셨던 틀:ko-IPA을 만들어낼 수 있나요? 이런 작업은 어디에 요청하면 되나요? --Dromakor (토론) 2019년 1월 1일 (화) 02:37 (KST)답변

 
Tibetan Transliteration (Conversion) Code 제공 사이트 THLib.org 캡쳐 화면
만일 루아 모듈에 관심이 있다면 mw:Lua/Tutorial이나 w:en:Wikipedia:Lua를 참고하여 직접 만들어볼 수도 있습니다. 혹은 다른 사용자들에게 만드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덧붙여 일반 문서에서는 <br>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해당 태그를 사용한 편집은 되돌려졌음을 알려드립니다. --Garam 논의 2019년 1월 1일 (화) 15:26 (KST)답변
네. 고맙습니다.^^ 그리고 <br> 태그 사용은 피하도록 하겠습니다. --Dromakor (토론) 2019년 1월 1일 (화) 16:26 (KST)답변

이하 해결된 사항

편집

티베트어의 한글 표기안

편집

찾아보니 학술적으로 제시된 티베트어의 한글 표기안이 존재합니다.#1 해당 표기법은 틀:표제어 내 ‘발음’ 변수로 표현할 수 있을 듯 싶네요.(예: {{표제어|발음=}}) --Garam 논의 2019년 1월 2일 (수) 14:43 (KST)답변

네^^ 고맙습니다. 도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romakor (토론) 2019년 1월 3일 (목) 16:41 (KST)답변

티베트어 문서에서 와일리 표기가 병행될 필요성에 대한 논의

편집

와일리 표기라 함은 로마자 표기법의 하나라고 보여지는데,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은 한글로 쓰여진 한국어에 대한 사전이므로 영어권을 비롯한 로마자를 주된 문자로 쓰는 언어권과 달리 로마자 표기를 별도로 병기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Garam 논의 2018년 12월 31일 (월) 15:20 (KST)답변

네. 로마자 표기법의 하나 맞습니다. 그런데 티베트 문자 대신 로마자 표기의 티베트어를 표제어로 해서 다양한 사전을 찾아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아직까지는 티베트 문자와 로마자 표기법이 병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서양쪽 자료들의 경우 티베트 문자 대신 로마자 표기법으로만 작성하는 경우가 많고 그걸 참고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와일리 표기가 익숙치 않은 티베트어 입문자들이 티베트문자에 대해 와일리 표기법을 알기 위해 사전을 찾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보통 사전을 많이 찾게 될 이들이 오히려 입문자들임을 생각한다면 병행표기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한국에서 티베트어-한국어 사전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떠올려 보면 대장경 연구자가 많습니다. (티베트어로 번역된 경전은 사실 산스크리트어로 된 경전을 번역한 것이 대부분이고 소실된 산스크리트어 경전을 티베트어로 복귀시킬 수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 그 때문에 많은 경우 산스크리트어 텍스트를 보면서 해석의 정확성을 위해 티베트어 텍스트를 병행하여 읽고 있습니다.) 실생활에서 대화를 위해 배우려는 사람들보다는요. 티베트어-한국어사전을 찾게 될 사용자의 특수성을 고려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Dromakor (토론) 2018년 12월 31일 (월) 16:39 (KST)답변
말씀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이 되지만, 그러한 부분들이 티베트어-한국어 사전과 같은 곳에서도 쓰이는지 알 수 있을까요? 이는 개인적으로는 비라틴계 외국어 사전들에서는 그러한 외래어표기법을 본 경우가 없어서 티베트어만을 별도로 표기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 있어서 여쭤보는 것입니다. --Garam 논의 2018년 12월 31일 (월) 19:46 (KST)답변
일단 전공자들이 사용하는 공식적인 티베트어-한국어 사전이 없습니다. 이것이 제가 여기 위키낱말사전에 문서를 만드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티베트어 문자입력이 용이해진 지가 얼마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자료들 중에 티베트문자가 아닌 로마자로 표기된 것이 많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 문서를 하나씩 만들어 채우면서 사전제작작업을 시도해 보려구요. 티베트어-영어 사전의 경우 병기를 하거나 아니면 티베트문자를 와일리로 변환시켜주는 프로그램을 같이 지원해 주면서 사전검색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함께 보는 것이 흔한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게다가 많이 찾는 사이트들의 경우 원전에 대한 데이터를 티베트문자로 된 것와 로마나이즈된 자료 두 가지를 함께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출판물에서는 병기하거나 둘 중 하나만 쓰는 경우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 '위키백과나 위키낱말사전 사이트에 문서를 만든다는 것'은 나혼자 작업하겠다! 가 아니라 누군가와 함께 작업할 기회를 기다리겠다는 마음도 있기 때문인데, 이번 세대가 안되면 다음 세대에서라도... 더 멀리 나갈 수 있으리라 희망하면서... 그리고 참고로 goldendict라는 전자 사전 프로그램에서는 사전 data file을 넣어두고 off-line에서 검색할 수 있는 기능 뿐 아니라 on-line상의 위키사이트를 호출해서 검색할 수 있게 개발되어 있습니다. 저는 이 기능을 활용해서 on-line상의 위키백과와 위키낱말사전 사이트의 검색을 통해 티베트어-한국어 사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실제로 저는 그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위키의 토론 문서 기능을 통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약속된 번역어나 발음 표기법 등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지길 희망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통해 위키에서 자료를 참조하는 것이 이미 보편화되었고 문서편집 이용에 있어서 불편한 점은 있지만 시스템적으로도 미디어위키가 가장 믿을 만해서 여기에서 시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지속적인 개발 지원도 무시할 수 없으니까요.) 참고로 goldendict 위키설정 화면을 공유합니다. --Dromakor (토론) 2018년 12월 31일 (월) 21:07 (KST)답변
 
goldendict에서 검색할 위키사이트 지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
해당 표기법에 대해 다소 지식이 없어서 그러는데, 혹시 해당 표기법은 문자 1개당 로마자로 변환되는 체계인가요? 만일 그렇다고 한다면 일일이 표기법을 입력할 필요가 없이 미디어위키 내 모듈 기능을 사용하여 틀:ko-IPA와 같이 만드는 게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Garam 논의 2018년 12월 31일 (월) 21:34 (KST)답변
자음의 경우, 자음 1개당 지정된 로마자(1개 이상)로 변경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모음입니다. 표기되는 모음도 있지만 표기되지 않는 암묵적인 모음으로 -표기되지 않은- 음가만 있는 글자의 경우가 있습니다. 근데 진짜로 쉽지 않은 로직은 어떤 자음 뒤에 모음 음가를 살릴 것이냐 하는 것을 판단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까다로운 로직이 필요할 듯 한데, 힘든 작업이 될 듯 합니다. 혹시 미국의 윅셔너리의 경우에는 개발된 게 있나 찾아보니 모듈 없이 와일리(Wylie)표기를 병행해서 달아 두었더군요. 즉 당장 그대로 갖다가 사용할 수 있는 '검증된' 것을 발견하지 못했구요, 만들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ㅠㅠ 일단 'Wylie' 표기를 티베트 문자와 병행해서 적고 나중에 검증된 모듈이 나온다면 그 때 가서 묘듈로 일괄 대체하는 건 어떨까요? 이 티베트어-한글 사전이 정말로 많이 사용될 수 있으려면 필요에 의해 이 사전을 찾아보게 될 사용자의 입장에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표기되어 있고 없고에 따라 얼마나 유기적으로 사전을 사용할 수 있는지 알기 때문입니다. 저 아닌 다른 사람(실질적인 사전이용자)이 티베트어 문서 편집을 하더라도 병행표기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는 같으리라 생각합니다. --Dromakor (토론) 2019년 1월 1일 (화) 01:33 (KST)답변

문서 이동 알림

편집

해당 문서의 경우, 일반 이름공간의 문서로는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이름공간 내의 사용자:Dromakor/티베트어 문서 작성 템플릿으로 이동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Garam 논의 2018년 12월 30일 (일) 18:06 (KST)답변

고맙습니다. ^^ --Dromakor (토론) 2018년 12월 30일 (일) 21:26 (KST)답변

품사 사용

편집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티베트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질의가 있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우선, དམར་ 문서에서 이를 부사라고 명시하신 부분은 단순히 부사격 조사의 활용형인 것 같은데 그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낱말로 보기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또한 དམར་པོ་ 자체가 형용사인 시점에서 དམར་를 དམར་པོ་의 형용사형으로 보기에는 힘들 것으로 보이고, དམར་པོ་는 형용사일 뿐, 해당 낱말의 명사형은 དམར་པོ།라고 하므로 དམར་པོ་ 문서에서 이를 명사라고 기술하신 부분은 잘못된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부분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Garam 논의 2018년 12월 27일 (목) 18:17 (KST)답변

고맙습니다. Garam님께서 지적해 주신 사항을 고려해 다시 고쳐두었습니다. ^^ 그리고 와일리 표기방식은 살려두는 게 좋을 듯 해서 그것은 남겨 두었습니다. -- Dromakor (토론) 2018년 12월 28일 (금) 06:5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