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설명문서

사용법

편집

언어에 관계 없이 모든 낱말의 어원을 명시할 때 사용하는 틀입니다.

주의: 한자음으로 된 표제어 문서에서는 한자 낱말을 형태소별로 나누지 않고 전체로 쓰되, 고유어로 된 합성어나 한자(어)로 된 표제어 문서에서는 각각의 형태소별로 나누어 씁니다.

  • 부제: 맨 앞에 ‘어원’임을 표시하는 제목. 미사용 시에 부제=숨김을 입력.(선택)
  • 언어: 해당 문단 내에서 쓰여진 언어의 이름.(필수)
예: 언어=한국어 혹은 언어=영어
  • 형태:
합성어, 외래어
한자, 한자어, 한자 독음, 한자어 독음
변수 사용.(선택)
예: 형태=한자어 혹은 형태=외래어
  • 품사
  • 낱말
  • 1 혹은 낱말1: 어원이 되는 기준 낱말. 낱개로 입력.(필수)
  • 4 혹은 낱말2: 어원이 되는 기준 낱말.(선택)
  • 7 혹은 낱말3: 어원이 되는 기준 낱말.(선택)
  • 10 혹은 낱말4: 어원이 되는 기준 낱말.(선택)
  • 13 혹은 낱말5: 어원이 되는 기준 낱말.(선택)
  • 3 혹은 뜻1: 1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뜻.(사실상 필수)
  • 6 혹은 뜻2: 4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뜻.(동일)
  • 9 혹은 뜻3: 7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뜻.(동일)
  • 12 혹은 뜻4: 10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뜻.(동일)
  • 15 혹은 뜻5: 13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뜻.(동일)
  • 독음
  • 2 혹은 발음1: 1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발음.(사실상 필수)
  • 5 혹은 발음2: 4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발음.(동일)
  • 8 혹은 발음3: 7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발음.(동일)
  • 11 혹은 발음4: 10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발음.(동일)
  • 14 혹은 발음5: 13에 해당하는 기준 낱말의 발음.(동일)
  • 유래언어
  • 유래언어1: 1에 해당하는 낱말의 어원이 되는 언어. 위키백과에 있는 문서의 이름.(선택)
예: 유래언어1=중세 영어
  • 유래언어2: 4에 해당하는 낱말의 어원이 되는 언어.(동일)
  • 유래언어3: 7에 해당하는 낱말의 어원이 되는 언어.(동일)
  • 유래언어4: 10에 해당하는 낱말의 어원이 되는 언어.(동일)
  • 유래언어5: 13에 해당하는 낱말의 어원이 되는 언어.(동일)
  • 추가: 어원 틀을 연달아 사용하고자 할 때 추가=네를 입력합니다. 이 경우에는 이어지는 어원 틀에서 부제=숨김을 입력해야 합니다.(선택)

예시

편집

기본적으로는 이렇게 씁니다:

  • {{어원|낱말=place|뜻=장소|언어=영어|형태=복합어|유래언어1=중세 영어}}
  • {{어원|낱말1=place|뜻1=장소|낱말2=holder|뜻2=소유자|언어=영어}}
  • 어원: place(“장소”) 및 holder(“소유자”).
  • {{어원|國|국|나라|언어=한국어|형태=한자어 독음|부제=숨김}}
(, “나라”).
  • {{어원|辭|사|말|典|전|책|언어=한국어|형태=한자어 독음}}

한자로 된 표제어 문서에서는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 {{어원|낱말1=民主|발음1=민주|낱말2=共和國|발음2=공화국|언어=한국어|형태=한자어|부제=숨김}}
民主(민주) + 共和國(공화국).
  • {{어원|낱말1=辭|발음1=사|낱말2=典|발음2=전|언어=한국어|형태=한자어}}

한자어 독음 문서에서는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 {{어원|낱말=敗北|발음=패배|언어=한국어|형태=한자어 독음}}
  • {{어원|辭典|사전|언어=한국어|형태=한자어 독음}}